티스토리 뷰
미로 탈출
문제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현재 위치는 (1, 1)이고 미로의 출구는 (N,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라.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입력
- 첫째 줄에 두 정수 N, M(4 <= N, M <= 2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각 M개의 정수(0혹은 1)로 미로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공백 없이붙어서 입력으로 제시된다. 또한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은 항상 1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소 이동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6 101010 111111 000001 111111 111111
출력 예시
10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m = map(int,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input())))
dx = [-1,1,0,0]
dy = [0,0,-1,1]
def bfs(x,y):
q = deque()
q.append((x,y))
while q:
x,y = q.popleft()
for i in range(4):
xn = x + dx[i]
yn = y + dy[i]
if xn < 0 or yn < 0 or xn >= n or yn >= m:
continue
if graph[xn][yn] == 0:
continue
if graph[xn][yn] == 1:
graph[xn][yn] = graph[x][y] + 1
q.append((xn,yn))
return graph[n-1][m-1]
bfs(0,0)
print(bfs(0,0))
- BFS가장 가까운 지점부터 그래프의 모든 곳 탐색
- 특정한 노드를 방문하면 그 이전 노드의 거리에 1을 더한 값을 리스트에 넣는다.
'알고리즘 공부 > DFS,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파이썬]경쟁적 전염 (0) | 2021.09.08 |
|---|---|
| [파이썬] 연구소 (1) | 2021.09.07 |
| [파이썬]DFS 음료수 얼려먹기 (0) | 2021.09.0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프로그래머스
- E325: ATTENTIONFound
- vi비정상 종료
- 그래프
- 스왑파일
- 최단거리
- zsh환경변수
- 파이썬
- zsh compinit: insecure directories
- 최단경로
- 다익스트라
- 코딩테스트
- 플로이드워셜
- 알고리즘
- 코테
- zsh 에러
- zsh
- arrayofodject #배열객체저장 #firestore #nestedaraay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